일 상

대전당뇨 // 시티내과에서 알려드리는 당뇨병환자의 식이요법과 운동

코미네 2018. 3. 10. 22:52


  • #대전당뇨
  • #대전내과
  • #둔산동내과
  • #대전내과추천
  • #대전내과당뇨
  • #시티내과
  • #대전당뇨병추천
  • #대전당뇨증상

대전내과에서 알려드리는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운동과 식사요법 입니다 


당뇨병환자를 위한 식이요법


-당뇨병의 식이요법은 무조건 적게 먹는 것이 아닙니다.

-정상적인 활동을 하면서 적당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

 알맞은 열량을 각 영양소별로 골고루 섭취하는 것입니다.

-어떤 음식을 제한하거나, 맛있는 음식을 피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,

 균형잡힌 영양섭취를 위해 여러가지 식품을 골고루 먹는 것입니다.

-하루3끼, 규칙적으로 일정한 양을 먹도록 합니다.

-필요열량의 50~60%는 당질로, 15~20%는 단백질로 섭취하고,

 지방은 25%이내로 섭취하며 비타민과 무기질은 충분히 섭취합니다.

-단맛이 강한 음식,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음식은 피하도록 합니다.

-성류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.

-싱겁게 먹어야 합니다.

-술을 삼갑니다.


당뇨병환자를 위한 운동 지침


-모든 당뇨병 환자들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당뇨병의 합병증과

 운동이 금기시 되거나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다른 질환의 동반여부를

 주치의에게 확인해야 합니다.

-운동은 혈당을 낮춥니다.

-인슐린 감수성을 호전시키고 인슐린 요구량을 낮추므로 인슐린 투여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-당화혈색소 수치를 낮춥니다.

-혈압을 낮춥니다.

-혈중지질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.

-심혈관 기능을 개선시키고, 심장 및 순환기 질환(협심증, 심근경색, 뇌졸증 등)을 예방합니다.

-근력이 좋아지고 열량의 소모를 증가시킵니다.

-불안과 우울 등 정신건강에 좋습니다.

-항암효과가 있습니다.



운동해도 되는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해야 하는 경우는?

  -관상동맥 질환,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거나 진단받은 경우

  -당뇨병이 병력이 10년 이상인 환자(제1당뇨병 환자느 15년 이상)

  -35세 이상인 당뇨병 환자

  -미세혈관 합병증(증식성 망막병증 또는 미세알부민뇨증을 포함한 산증)

  -말초혈관질환

  -심한 고혈압, 심한 말초신경합병증, 심한 자율신경병증


운동 준비사항


-적절한 스트레칭과 준비 운동을 반드시 하고

 운동이 끝날때는 5~10분 정도 정리 운동이 중요합니다.

-운동을 안 하거나 시작하면 혈압이 뚝 떨어지거나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하고,

 덥거나 추운 환경에서는 운동을 피하며 충분한 물을 마십니다.


운동 시 주의사항


-케톤증이 있으면 고강도 운동을 금해야 합니다.

-케톤증이 없으면 고혈당 시에도 운동할 수 있으나,

 의료진의 감독이 없는 경우라면 혈당이 250mg/dL 이상이면 

 운동을 연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
-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주치의와 상의하여 운동량을 결정합니다.

-조절되지 않은 고혈압, 심장병, 말초혈관질환, 당뇨병성 망막증,

 말기신부전, 말초신경병증, 자율신경장애가 있으면 주치의와 상담 후 운동을 해야합니다.

-잘 조절되지 않는 불안정한 혈당치를 가진 환자와 

 저혈당을 예방 또는 대비하기 어려운 환자는 운동 시 주의하여야 합니다.

-인슐린이나 경구 혈당강하제를 복욕 중인 경우에는 

 운동 전,후에 혈당을 측정하여 운동하는 동안의 혈당변화를 확인합니다.

-운동 전 혈당을 측정하여 100mg/dL 미만 일 때는 10~15g의 당질을 섭취한 후 운동을 시작합니다.



 (30분 이하의 가벼운 운동 수행 시)

-당뇨병 환자가 운동 시에는 저혈당에 빠질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하여야합니다.

 운동시에는 저혈당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탕이나 과자 등을 휴대하도록 하며,

 본인이 당뇨병이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는 카드나 당뇨병 수첩 같은 것을 꼭 휴대하도록 합니다.

-운동 전에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,

 너무 더운 날에 운동을 하는 것은 피하도록 합니다.

-발의 감각에 이상이 있는 환자는 발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 

 달리는 운동을 피하고 걷기나 수영, 자전거 타기, 팔 운동 같은

 체중부하가 필요없는 운동을 택하도록 합니다.

-혈압이 높은 환자나 증식성 망막증이 있는 환자는 한꺼번에 많은 힘을 쓰는

 역도, 머리를 아래로 하는 체위가 필요한 요가,

 고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피하도록 합니다.




당뇨병과 금연


-모든 당뇨병 환자는 반드시 담배를 끊어야 합니다.

-당뇨병 환자가 금연을 하면 전체사망률, 

 특히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고,

 합병증에 의한 다리절단의 위험도 감소시킵니다.